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중공업지부는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통해 8월 29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파업 지침을 내렸다. HD현대중공업 노동조합 제공HD현대중공업 노조가 올해 임금 교섭 난항과 관련해 2차 안을 제시하라며 5번째 부분 파업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 소식은 이번 교섭에 중요한 쟁점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중공업지부(이하 노조)는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통해 29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파업 지침을 내렸다.
HD현대중공업 노사는 5월 20일 상견례 이후 10여 차례 교섭한 끝에 지난달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하지만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됐다.
잠정합의안에는 월 기본급 13만3천 원(호봉승급분 3만5천 원 포함) 인상, 격려금 520만 원, 특별금(약정임금 100%) 지급, 기준에 따른 성과급 지급 등이 담겨 있었다.
이후 노사는 6차례 더 교섭을 가졌다. 지금까지 임금 인상 규모와 방식 면에서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조가 매출 증가와 생산량 확대를 근거로 기본급·일시금 추가 인상을 요구하자 사측은 이미 잠정합의안에 보상을 반영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 소식으로 교섭이 급경색됐다.
노조는 회사에 고용안정 협약서 작성을 요구했다. 두 회사의 합병으로 인한 전환 배치, 국내 생산물량 감소로 고용 불안이 우려된다는 거다.
이와 관련해 노사간 합의가 나오진 않았다.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 등 조선 3사는 다음 달부터 공동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한편,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노조는 이날 백호선 HD현대중공업 노조 지부장과 박진철 HD현대미포 노조 위원장 공동 명의로 입장문을 냈다.
이들 노조는 "두 회사의 합병과 관련해 공동으로 대응할 것을 결의했다. 노조의 동의 없는 사측의 일방적인 전환 배치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맞서 싸우겠다"라고 밝혔다.
또 "인위적으로 통합된 HD현대중공업이 아니라 노조와 함께 노동이 존중되는 사업장, 노사가 상생하는 사업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들 노조는 "회사 측에 합병에 대한 세부적인 자료와 합병시 발생할 수 있는 제도·인력 개선에 대한 회사 입장을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HD한국조선해양과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는 2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두 회사의 합병 안건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