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검색
  • 0
닫기

대사이상 지방간 악화시킨 유전물질 세계최초로 확인

0

- +

UNIST 최장현 교수팀, 유전물질 miR-93 분자 기전 규명해
비타민 B3로 유전물질 발현 억제…"복합 치료 적용, 유력 후보"

miR-93이 대사이상 지방간(MASLD)을 유발하는 발병기전과 니아신(Niacin) 기반 치료 효과. 연구그림 UNIST 제공miR-93이 대사이상 지방간(MASLD)을 유발하는 발병기전과 니아신(Niacin) 기반 치료 효과. 연구그림 UNIST 제공세계 인구의 30%가 앓고 있다고 알려진 대사이상 지방간을 악화시키는 유전물질이 새롭게 확인됐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최장현 교수팀은 간에서 발현되는 마이크로RNA-93(miR-93)이 대사이상 지방간의 발병과 악화를 유도하는 유전물질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윤화영 교수팀, 울산대학교병원 박능화 교수팀이 공동으로 참여 했다.

miR-93은 간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수 RNA로,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지방간을 앓고 있는 환자와 동물 실험 모델에서 이 miR-93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았다.

miR-93이 간세포 내에서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SIRT1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방식의 분자기전을 통해 지방 축적과 염증 반응, 섬유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유전자 편집을 통해 miR-93 생성 기능을 제거한 실험쥐는 간 내 지방 축적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인슐린 민감도와 간 기능 지표가 크게 개선됐다. 반면, miR-93을 과도하게 발현시킨 쥐는 간 대사 기능이 악화됐다.
 
또 FDA 승인 약물 150종을 대상으로 스크리닝을 진행한 결과, miR-93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은 비타민B3로 알려진 니아신이었다.

최장현 교수(좌측 상단), 박기은 연구원(좌측 하단,제1저자), 이요한 박사(하단 중앙, 제1저자). UNIST 제공최장현 교수(좌측 상단), 박기은 연구원(좌측 하단,제1저자), 이요한 박사(하단 중앙, 제1저자). UNIST 제공실험에서 니아신을 투여받은 쥐는 간 내 miR-93 수치가 크게 감소했고, SIRT1 유전자의 활성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활성화된 SIRT1은 지방산 분해를 촉진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다시 작동시켜, 무너졌던 간 내 지질 대사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 지방간의 분자적 발병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미 승인된 비타민 성분으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임상 적용성이 매우 높다"고 했다.
 
연구진은 또 "니아신은 고지혈증 치료제로 활용되고 있는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인 만큼, miRNA 기반 복합 치료 전략에도 적용될 수 있는 유력 후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생의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메타볼리즘: 클리니컬 앤드 익스페리멘털(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에 지난 4월 12일 온라인 공개됐다.

UNIST 이요한 박사, 박기은 연구원과 울산대학교병원 정준호 교수, 부산대학교 이진영 연구원이 이번 연구의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